3경 국가기록원 부산분원




역사의 숨결 국가기록원 부산분원

연제구에는 우리나라에서 3곳밖에 없는 국가기록원 분원이 있다.

성남분원 · 부산분원 · 대전분원이며 이 중 부산분원은 아시아드 주경기장 뒤편 쇠미산 자락에 위치해 있다.

국가기록원 부산분원은 1984년 우리나라 최초의 기록물 보존 시설로서 건립되었다.
현재 국가기록원 부산분원에는 태백산 사고본이 보존되어 있다.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이미지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이미지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이미지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이미지

조선왕조실록 사고본의 흐름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 사고본의 흐름을 상세히 나타낸 표입니다.
조선 초기 (4대 사고)조선 후기(4대 사고)보존내용
춘추관 사고(한양) 임진왜란 때 화재로 손실 춘추관사고 1624년 이괄의 난에 화재로 소실
충주사고 임진왜란 때 화재로 손실 강원도 평창 오대산 사고 일제강점기 일본이 가져가서 일본 동경제대 보관 중 1923년 관동대지진 때 일부 소실 나머지만 돌려받음
성주사고 임진왜란 때 화재로 손실 경북 봉화 태백산 사고 일제강점기 일본이 가져가서 8·15광복 후 돌려받음
현재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 보존 중
전주사고 무사히 보존
이를 바탕으로 4부 다시 만듦
평안도 영변 묘향산 사고 무주적상산 사고로 이동 한국전쟁 때 북한이 김일성 종합대학으로 가져감
강화도 마니산 사고 인천 정족산 사고로 이동 서울대학교 규장각 도서로 보존 중

국가기록원 부산분원 이용방법

전시관을 관람하거나 직접 정보를 검색할 때 이용할 수 있는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기록정보 서비스홀

홈페이지에서 자료를 살핀 후에 직접 창구에 가서 신분증을 내고 등록한 후에 내부 프로그램으로 자료를 찾는다. 자료는 직원의 안내에 따라 열람, 복사가 가능하다(비공개 문건인 경우 제외).

기록문화전시관-기록문화역사실, 조선왕조실록실

각종 기록에 대한 소중함을 일깨우는 전시실이 있고 1층 로비에 있는 박물관에는 조선왕조실록 등에 대한 다양한 전시물과 체험공간이 조성되어 있다. 같은 공간에 설치된 조선왕조실록실은 조선왕조실록에 대한 소개와 체험을 제공하고 있다. 실록 편찬, 활용, 수난의 역사와 사관 선발시험, 사관 방명록 등 체험공간도 있다.

다양한 국가기록원 부산분원 견학 프로그램

  • 기본 코스 : 초·중·고등학생 및 일반인 / 약 60분 / 코스 : 기록문화체험실-기록문화전시관-광개토대왕릉비(복제본)
  • 실무 코스 : 기록관리 관련 담당자, 일반인 등 / 약 120분 / 코스 : 기록문화체험실-탈산처리실-보존서고-기록문화전시관-광개토대왕릉비(복제본)
  • 관련 문의 : 국가기록원(https://www.archives.go.kr, ☎051-550-8010)

찾아오시는길

  • 주소 : 부산 연제구 경기장로 28(거제동, 국가기록원 부산분원)
  • 연락처 : 051-550-8023
  • 교통
    • - 지하철 : 3호선 종합운동장역 9번 출구 방향 1.4km
    • - 버스 : 54번, 83-1번
    • - 마을버스 : 부산진17번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문화체육과
  • 연락처 : 051-665-5601

최근수정일 : 2025-03-13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